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인문학

녹두꽃 동학농민혁명 창시자 최제우 생애

by 워니의서재 2019. 5. 12.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는 1824년에 태어나 1864년에 생을 마감했습니다. 본래 이름은 제선이었습니다. 그러나 어리석은 백성들을 구하겠다는 뜻에서 35세 때 이름을 제우로 바꾸었습니다. 신라 말의 고운 최지원의 28대손인 최제우는 경주의 몰락한 양반집에서 태어났습니다.

 

최지원은 천년 뒤 최씨 후손이 유교와 불교 도교 삼교를 통일할 것이라 예언했습니다. 그 예언이 맞는다면 최제우가 바로 그 후예입니다. 최제우의 집안은 가난했기 때문에 양반 출신이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어 평민이나 다름없었습니다. 최제우는 6세 때 어머니를 잃고 16세 때 아버지마저 돌아가신 뒤 23세 때 노비들을 자유민으로 풀어주고 깨달음을 얻기 위해 떠났습니다.

 

전국을 떠돌던 최제우는 피페한 조선의 모습을 보고 크게 실망하고 산에 들어가 도를 닦기도 하고 사색에 잠기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는 1860년 4월 신비 체험을 거쳐 동학을 창도 합니다. 최제우가 도를 얻는 모습이 동학 경전에 이렇게 쓰여있습니다.

 

49일간의 기도를 끝낸 최제우 앞에 상제가 나타납니다. 상제는 최제우에게 '두려워하거나 겁내지 말라. 세상 사람들이 나를 상제라 부르거늘 너는 상제를 알지 못하느냐'라고 합니다. 최제우는 그 상제와 문답을 주고받았고 그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습니다. (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에서 모세가 하느님을 만나는 장면과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

 

깨달음을 얻은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는 집에 있던 계집종 두명을 한 명은 며느리로 삼고 다른 한 명은 수양딸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깨달음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는 일에 전념하다가 1864년 대구 감영에서 좌도 난정이라는 죄목으로 사형당합니다.

 

'좌도 난정'은 잘못된 도를 가지고 바른 도를 어지럽혔다는 뜻입니다. 이는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신 것과 비슷한 죽음입니다. 소크라테스도 거짓을 고해 젊은이들을 어지럽혔다는 죄목으로 독배를 마셨기 때문입니다. 

 

최제우의 생각이 담겨 있는 동학 경전에는 한문으로 된 <동경대전>과 우리말로 된 <용담유사>가 있습니다. 특히 8편의 노랫말로 이루어진 <용담유사>는 한문을 모르는 일반 신도나 부녀자를 위한 것입니다. 민중의 언어로 쓰인 만큼 민중의 유대를 강화시키는 좋은 틀을 마련했습니다.

 

동학은 한울님이 믿는 종교입니다. 한울님은 내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다고 합니다. 한울님이 내 안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서 잘 모시는 것이니 13자 주문에 나오는 시천주입니다. '시천주'는 인간이 자신의 내면에 자아를 확신하는 것입니다.

 

최제우는 한울님을 모시는 방법을 여러가지로 설명하였습니다. 무엇보다 먼저 한울님을 믿는 것이고 그다음 정성과 공경으로 대하는 것입니다. 한울님에 대한 정성과 공경만 제대로 갖추면 세상 사람 누구나 군자도 되고 성인도 된다는 것입니다. 이 속에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생각과 함께 인간 주체에 대한 강조가 깔려 있습니다.

 

<용담유사>에서는 '내 마음이 곧 너의 마음이니 하나로 어우러져 한 몸으로 돌아간다'고 쓰여있습니다. 이 말의 뜻은 생명이 평등하게 하나로 어우러지는 대화해의 세상이며 지상 신선의 나라라는 뜻입니다. 이런 생각은 나와 한울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생각에서 출발합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계층의 대립과 갈등을 넘어서서 모든 사람이 하나가 되는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내 마음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이 곧 너의 마음'이라고 합니다.

 

※녹두꽃 후기

혁명이나 이념운동을 하려면 철학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철학의 내용이 너무 어려우면 민중들이 이해를 못해서 효과가 없고 굉장히 간결하고 쉬워야 한다고 합니다. 프랑스에서도 볼테르와 루소 등의 철학으로 '프랑스혁명'이 일어났다고 합니다. 조선에서도 동학사상으로 혁명을 위한 운동일 일어났지만 외국 군대의 개입으로 실패한 아픈 역사입니다. 드라마의 후반부 가면 굉장히 슬픈 장면들이 많이 나올 것 같아 조마조마 시청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110984&start=slayer

 

한국철학 에세이 - 개정증보판

화엄사상을 기조로 한 ‘합침’의 철학으로 한국불교철학의 맹아를 싹틔운 원효로부터 ‘돈오점수’를 주장한 지눌, 그리고 기철학의 대가 서경덕, 이언적, 이황과 이이, 정제두, 조선 후기 실학자인 박지원과 정약...

www.aladin.co.kr

 

댓글